Page 26 - 고경 - 2019년 6월호 Vol. 74
P. 26

『   』 제74호 | 선시 산책 13



                  누가 세월 밖의 노래를 따라 부르나



                                    백원기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문학평론가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를

           비롯하여 2,200여 수의 많은 시를 남겼다. 그는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보
           위에 오른 수양대군(세조)의 계유정란 소식을 듣고 3일 동안 통곡하고 유

           서를 모두 불태운 뒤, 설악산 오세암에 들어가 머리를 깎고 법명을 ‘높고
           눈 덮인 산’이라는 의미의 설잠雪岑이라 하였다. 이후 그는 전국을 유랑하

           고 은거하면서 잘못된 시대적 상황에 대해 울분을 토하고 그것을 시문학
           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삶을 산 설잠의 시론의 핵심은 선심禪心이 곧 시

           심詩心이고, 시심詩心이 곧 선심禪心이다. 다음의 시는 설잠의 이러한 선심
           의 시적 변용을 가장 함축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다.



              시구는 언제나 한가로움 속에서 얻고                  시구매인한리득 詩句每因閑裏得

              선심은 거의 다 고요함 속에서 끌리네.                선심다향정중견 禪心多向靜中牽
              청산은 억지로 어리석은 이를 보고 웃고                청산강대치연소 靑山强對癡然笑

              명월은 누가 나누어 작은 샘에 떨어졌나?               명월수분낙소천 明月誰分落小泉



             시심과 선심은 모두 한가롭고 고요한 속에서 얻어 질 수 있음을 밝히
           고 있다. 때문에 설잠의 시가 지향하는 근원적인 경지도 바로 선이 추구

           하는 세계와 다르지 않다. 청산은 항상 여전히 말없이 존재하고 있을 뿐



           24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