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고경 - 2020년 1월호 Vol. 81
P. 84

사진 2.  관세음보살상, 백제(7세기),   사진 3.  보경사 11면관세음보살  사진 4.  11면관세음보살상, 11세
              25cm, 국립공주박물관          상, 당(8세기), 일본 도쿄국      기, 39.4cm, 미국 클리블
              소장.                    립박물관 소장.               랜드미술관 소장.




           음馬頭觀音 등이 유명하다.

             관음보살상이 다른 보살상과 구분되는 특징은 보관寶冠 속의 아미타불
           과 손에 든 정병淨甁과 연꽃이다. 보관 속에 아미타불을 표현한 것은 관음

           보살이 아미타불을 도와 수행자를 극락으로 맞아들여 진실한 이치를 깨
           닫게 하는 역할 때문이고, 손에 든 정병은 중생들의 고통이나 목마름을

           없애준다는 감로甘露가 든 물병을 상징한다.



           82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