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3 - 고경 - 2020년 3월호 Vol. 83
P. 83
『 』 제83호 | 차와 불교 1 상고시대 차는 채소였고, 약으로
쓰이기도 했다. 『시경詩經』 「국풍國
風」·「패풍邶風」·「속풍谷風」에 “누가
차를 쓰다고 했는가, 달기가 냉이와
신라에 차를 같구나[誰谓荼苦, 其甘如荠].”라는 구절
소개한 구법승들 을 보면 과거 차를 나물로 먹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원래 ‘도荼’는 ‘쓴
나물[苦菜]’이라는 뜻이다. ‘차茶’라는
박동춘 철학박사
글자가 나타나는 것은 당나라 이후
이며, 육우(陸羽, 733~804)가 도荼 글
자에서 한 획을 없애 ‘차’ 자를 만들
었다고 전해진다.
1973년경 여요余姚 하무도河姆渡
유적에서 차를 나물로 먹었던 흔적
이 발견되었다. 이 유적에서 부엌이
라 추정되는 곳에서 나무뿌리가 발
굴되었는데 바로 차나무 뿌리였다.
이 유적은 이미 7000년 전, 월越 지
박동춘 동국대 일반대학원 선문화 전공,
철학박사. 응송 박영희 스님에게 초의선
역에서 차를 채소로 섭취했다는 사
사로부터 이어진 제다법 전승. 현 (사)동
아시아차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전통문 실을 알려준다. 한편 신농씨神農氏
화대학교 겸임교수. 성균관대·동국대
의 신화에서는 차를 약초로 이용한
등에서 강의했고, 저서 『초의선사의 차
문화연구』 등 7권의 저술이 있다. ‘초의
다. 신농씨가 모든 약초를 맛보다가
선사와 경화사족들의 교유에 대한 연구’
및 ‘한국 차 문화’ 전반을 연구하며, 순천 독에 중독되어 사경을 헤매었는데,
대광사지에서 ‘동춘차’를 만든다. 한국차
찻잎을 먹고 살아날 수 있었다고 한
문화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