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7 - 고경 - 2020년 8월호 Vol. 88
P. 107

『   』 제88호 | 차와 불교 6            13세기 고려는 몽골의 난이 종식
              원감 국사 충지
                                           된 후 왕실이 다시 개경으로 환도還
                                           都하면서  불교계는  변화를  겪는다.

                                           수도를  중심으로  활약하던  교단이
           “기쁘게도 한 움큼                      쇠퇴하였다가 왕실이 개경으로 복귀

            증갱차를 얻었네”                      하고, 전쟁 중 훼손된 사찰들이 중창
                                           되고, 그 사찰들이 교단의 중심적인

                                           지위를  다시금  회복했기  때문이다.
            박동춘 철학박사
                                           강화 천도 시기 당시 담선법회談禪法
                                           會는 몽골에 대항하는 불교 의례의
                                           성격이 강화되었다. 이런 흐름은 원

                                           의 정치적 입장이 고려 조정에 강하

                                           게 미치기 시작하면서 원元나라의 또
                                           다른 압박의 빌미로 작용하게 된다.
                                              원래 담선법회는 고려 초기 개경

                                           보제사에서 선승들이 모여 선을 담

                                           론하고  수행하는  모임으로  출발했
             박동춘   동국대 일반대학원 선문화 전         다. 그런데 무신정권기에 권세가였던
             공, 철학박사. 응송 박영희 스님에게 초
                                           최충헌과 최이가 이 법회에 관심을
             의선사로부터  이어진  제다법  전승.  현
             (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전         두자 법회는 더욱 활발해지는 경향
             통문화대학교  겸임교수.  성균관대·동
             국대 등에서 강의했고, 저서 『초의선사의        을 띈다. 수선사는 최씨 정권으로부
             차문화연구』 등 7권의 저술이 있다. ‘초
                                           터 물심양면으로 지원을 받으며 대
             의선사와 경화사족들의 교유에 대한 연
             구’ 및 ‘한국 차 문화’ 전반을 연구하며,      몽항쟁기에 불교를 주도한 사찰이었
             순천  대광사지에서  ‘동춘차’를  만든다.
             한국차문화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기에 상대적으로 원이 가장 경계할



                                                                        105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