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8 - 고경 - 2020년 8월호 Vol. 88
P. 128

야 된다. 『오등엄통』은 이전에 출현했던 전등사서의 오등五燈 곧 『경덕전등
           록景德傳燈錄』 30권(1004), 『건중정국속등록建中靖國續燈錄』 30권(1101), 『천성
           광등록天聖廣燈錄』 30권(1148), 『종문연등회요宗門聯燈會要』 30권(1189), 『가태

           보등록嘉泰普燈錄』 30권(1201-1204), 『오등회원五燈會元』 20권(1253) 등의 법

           통法統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한 문헌이다. 이것은 비은통용의 서문에
           서 힘주어 말하고 있는 것에서도 잘 드러나 있다.
             그러나 비은통용은 정작 임제종만 정통으로 간주하고 있듯이 『오등엄

           통』의 내용은 자파의 종파의식으로 무장하고 있는 문헌으로서 그 한계가

           노출되어  있다.  이를테면  청원행사의  법맥에  속하는  천황도오(天皇道悟,
           748-807)를 부정하고 남악회양의 법맥에 속하는 마조도일(馬祖道一, 709-788)
           의 사법제자로 연결하였고, 천복승고(薦福承古, ?-1045)의 운문종 사법을 배

           제하여 법맥 이외로 간주하였으며, 원문정주遠門淨柱가 편찬한 『오등회원속

           략五燈會元續略』 4권(1648)에 의거하여 조동종 제13세 천동여정(天童如淨, 1163-
           1228) 이하의 법통에 대해 사승嗣承의 전거가 상세하지 않다고 비난했다.
             그리고 특별히 『오등엄통해혹편五燈嚴統解惑編』 1권을 저술하여 이들 주

           장에 대하여 나름대로 근거를 마련하여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흐름의 상

           황은 명대 말기 및 청대 초기, 소위 승쟁시대僧諍時代에 출현한 여러 문헌
           가운데 하나에 속한다. 『오등엄통』에서 보여준 이와 같은 몇 가지 점은 선
           종사에 많은 문제점을 일으켰다. 특히 우리나라의 선종사에도 영향을 끼

           쳤다. 곧 조선시대 중기 청허휴정의 『선가귀감』을 비롯하여 환성지안의 『선

           문오종강요』 및 백파의 『선문오종강요사기』 등에 보이는 임제종만 정통이
           라는 견해가 그것이다. 『오등엄통』의 주장에 보이는 선종사적 특징으로서
           천황도오와 관련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126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