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8 - 고경 - 2020년 8월호 Vol. 88
P. 158
리학정의』 중 유식학, 인명학에 대한 논술이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철학자 웅십력(熊十力, 1884-
1968, 사진 8)은 구양경무에게 불교를 배우고 북
경대학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는데, 저서 『불가
명상통석佛家名相通釋』은 법상유식의 불교 입문
서로서 당시 큰 영향을 미쳤다. 웅십력은 『신유
식론新唯識論』, 『인명대소산주因明大疏刪注』, 『당
사진 10. 담사동
대불학구파반대현장지암조唐代佛學舊派反對玄奘
之暗潮』 등 유식학과 관련된 저서가 많다(사진 9). 그는 유식 불교와 유학을
결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철학 체계를 형성하였다. 태허, 거찬, 유정권
등 구양경무 제자들은 이를 비판하였고, 이에 대해 웅십력은 『파파신유식
론破破新唯識論』을 지어 반박하였다. 웅십력에게도 당군의(唐君毅, 1909-
1978), 모종삼(牟宗三, 1909-1995) 등 현대신유학 제자들이 있다.
양계초, 담사동, 장태염, 양도 등도 유식 불교에 관련된 저술을 남겼다.
양계초는 지나내학원에서 구양경무에게 불교를 공부하였고, ‘유심唯心 ’, ‘불
교심리천측佛敎心理學淺測’ 등의 글에서 유식 불교를 해설하였다. 담사동(사
진 10)의 『인학仁學』과 장태염의 『제물론석齊物論釋』은 유식 불교를 기본으로
각각 유학과 장자 사상을 통합한 저서이다. 개인적으로 담사동의 『인학』, 장
태염의 『제물론석』, 그리고 웅십력의 『신유식론』이 중국 근현대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3대 저서라고 생각하는데, 이들 저서들이 모두 유식불교를 근
거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시기 유식 불교의 영향력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경향은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최근의 연
구 저작으로는 대만 오여균吳汝鈞의 『유식철학唯識哲學』, 양백의楊白衣의 『유
식요의唯識要義』, 한정걸韓廷杰의 『유식학원리唯識學原理』 등이 있다.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