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 고경 - 2020년 11월호 Vol. 91
P. 89

『   』 제91호 | 차와 불교 9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
              조선 후기의 차 문화
                                           으며 정치·사회·경제 등 방면에서 전
                                           반적으로 혼란을 겪는데, 혼란은 당

                                           시 불교계의 수행이나 포교, 차 문화
           생강차 등 대용 차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차산지에 위

           마시는 풍습 확산                       치한 일부 사찰에서 차 마시며 수행
                                           하는 풍토가 근근이 이어질 수밖에

                                           없었던 것은 차 문화 또한 시대적 상
            박동춘 철학박사
                                           황이나 흐름과 유기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의 차 문화는 사찰과 스

                                           님들이 주도하던 전대(고려 시대)와는,

                                           차  문화를  향유하는  수준이나  차
                                           품茶品, 다구 등이 새롭고 발전적인
                                           형태를 구축하지 못한 채 쇠락해진

                                           경향을 띠었다. 이런 현상은 전란으

                                           로 인한 사회적 변화 및 경제력과 밀
             박동춘   동국대 일반대학원 선문화 전         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며, 성리학의
             공, 철학박사. 응송 박영희 스님에게 초
             의선사로부터  이어진  제다법  전승.  현      극성도 영향을 적지 않게 미쳤을 것
             (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전
                                           으로 생각된다. 차를 향유하는 계층
             통문화대학교  겸임교수.  성균관대·동
             국대 등에서 강의했고, 저서 『초의선사의        의 다변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
             차문화연구』 등 7권의 저술이 있다. ‘초
             의선사와 경화사족들의 교유에 대한 연          던 조선 후기 차 문화의 흐름은 유득
             구’ 및 ‘한국 차 문화’ 전반을 연구하며,
                                           공(柳得恭, 1748-1807)의 『경도잡지京都
             순천  대광사지에서  ‘동춘차’를  만든다.
             한국차문화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雜志』에서 여실히 드러냈다.



                                                                        87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