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 고경 - 2021년 5월호 Vol. 97
P. 51
금강 역사가 문을 지키는 전통은
분황사탑에서도 표현되어 있으며,
12세기 개성 안화사의 신호문神護
門도 천왕문이라기보다는 금강 역사
가 있는 금강문이었을 것이다. 그리
고 현존하는 사례로는 15세기 후반
의 도갑사의 해탈문이며, 임진왜란
사진 8. 『범음산보집』의 12단 배설지도에서 정문
직후 중창되는 대형 사찰에서는 대
의 위치.
부분 금강문이 들어서 있다.
당시 금강문을 세운 뜻은 물리치는 문만을 세운 것이 아니라 보살을 동
자의 모습으로 세워 환영하거나 유도하는 의미로 세웠을 것으로 추정하지
만 그 정확한 의미를 현재 알 수는 없다.
천왕문
원래 부처님의 사방을 옹위하는 존재였지만 사찰의 산문에 들어섰다는
것은 큰 변화이다. 물론 문 안에서 동서남북의 방위와 지물을 유지하고 있
더라도 부처님의 곁을 지키다가 길목을 지키는 변화는 그만한 계기가 있지
않으면 힘들 정도로 획기적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천왕문이 보편화된 시기는 외세의 침범에 맞선 사찰의 피
해를 복구하던 17세기 전반이라는 것이 통설이다. 당시 왜군은 승군으로
활약한 불교를 철저하게 보복하였는데, 이후 전공을 인정받은 불교계는 전
국적으로 사찰을 재건하면서 호법의 의미에서 천왕문이 유행하게 되었다
는 것이다.
충분히 설득력 있는 설명이지만 15세기 천왕문이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