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5 - 고경 - 2021년 8월호 Vol. 100
P. 145
衆芳搖落獨暄姸 뭇 꽃들이 시들어진 때에 홀로 선연히 피어나
占盡風情向小園 작은 정원의 풍경과 정취를 모두 차지하였네.
疏影橫斜水淸淺 성긴 매화가지 사이로 꽃 그림자 물위에 비스듬
히 비추며
暗香浮動月黃昏 달빛 으슴푸레한 저녁 하늘에 그윽한 향기 날려
보내네.
霜禽欲下先偸眼 백학은 가지에 앉을 때 꽃을 먼저 훔쳐보고
粉蝶如知合斷魂 나비도 매화를 알고는 넋을 잃고 마는데
幸有微吟可相狎 나는 복도 많아 가만히 노래하며 서로 희롱할
수 있으니
不須檀板共金樽 악기와 술이 없다 해도 아무 상관없도다.
이 시로 인하여 매화향기를 ‘암향暗香’이라고 하는 말도 생겨나고, 매화는
산림처사의 상징적인 꽃으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어느 해인가 항주에 간 김
에 그의 시를 상상하며 서호의 둘레 길을 따라 걸어봤지만, 관광객만 넘칠
뿐 고아한 임포 선생이 살다간 삶의 향기는 느끼기 어려워 다음 날 새벽 인
적이 드문 시간에 혼자 호숫가를 천천히 걸어본 적이 있다.
매화를 정말 사랑한 사람은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 선생이다. 그의
높고 깊은 학문은 말하지 않더라도 세속에서 벗어나 산림처사로 매화와 함
께하며 인간 완성의 길을 걸어간 사람이 퇴계선생이다. 퇴계선생은 생전에
매화를 읊은 시만 무려 107수를 남겼고, 임종 시에도 서울에 두고 온 매화
가 생각이 나서 매화 화분에 물을 주라는 말을 유언으로 남겼다.
아무튼 봄날에 섬진강변을 따라 매화나무가 줄지어 서 있는 길을 걸으며
달까지 강에 비치고 매화향기가 은은히 물안개 위로 퍼지는 초저녁 밤의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