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6 - 고경 - 2021년 11월호 Vol. 103
P. 56

사진 5. 청곡사 삼장탱(1873년).


          된다. 이때 천장보살은 보통 설법인說法印을 취하고, 지지보살은 경책을 들
          며, 지장보살은 왼손에 보주寶珠를 들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다.
           삼장탱의 화면 형식은 대체로 세 가지 형태로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의 경우는 가장 많이 보이는 형태로 삼장을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한 형식

          으로 <사진 1>의 천은사 극락보전의 삼장탱(1776년)을 들 수 있으며 가장 일
          반적인 도상 배치라 하겠다. 특히 천은사 삼장탱의 화기畵記에는 삼장에 대
          한 존상명이 적혀 있어 사료적 가치도 지니고 있어 주목된다. 이와 같이 삼

          장보살을 수평으로 배치하더라도 <사진 2>의 통도사 삼장탱(1792년)과 <사

          진 3>의 구룡사 삼장탱(1727년)과 같이 권속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정방형
          에 가까운 화면을 이루기도 한다.
           두 번째로는 삼장을 삼각형 구도로 배치하는 형식을 들 수 있다. 이런

          경우는 화면이 정방형에 가깝다고 하겠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사진 4>의



          54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