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 고경 - 2022년 8월호 Vol. 112
P. 121

무도 이를 의심하지 않았다. 그때까지 의심할 근거가 없었다. 그러나 플랑
             크가 양자가설로 흑체복사(blackbody radiation)를 설명하고 아인슈타인이
             양자가설로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를 설명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빛을 입자라고 해야만 설명할 수 있는 물리현상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기

             때문이다. 이로써 기존의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 전개됐다. 왜
             그런가?
               어떤 상황에서는 빛이 입자처럼 행동하더라도 이중간섭 실험을 하면 빛

             은 언제나 파동처럼 행동한다. 빛이 사실은 입자인데 과거에 파동이라고 잘

             못 이해했던 게 아니다. 차라리 그랬다면 곤란한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
             았을 것이다. 고전물리학의 한계를 인정하면 되기 때문이다. 과학사에서 흔
             히 있는 일이듯이 과거 이론의 오류를 바로잡으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고전물리학에서는 빛이 파동이었지만 양자역학에서는 빛이 입자라는

             것이 아니다. 고전물리학에서는 빛이 파동처럼 행동하는 현상만을 알았고
             빛이 입자처럼 행동하는 현상은 새롭게 알게 된 것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
             해 플랑크가 양자가설을 세우면서 양자역학이 시작됐다. 빛이 입자처럼

             행동하는 아주 특별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양자역학이 나왔지만 이보다

             훨씬 많은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빛이 언제나 파동처럼 행동한다. 이
             처럼 빛을 포함하여 양자는 상황에 따라 달리 행동한다. 이를 파동과 입자
             의 이중성(duality)이라고 한다.




                무아無我: 파동이나 입자라는 개념의 틀을 내려놓으면 된다


               빛은 이중간섭 장치에서는 파동으로 행동하고 흑체복사에서는 입자로

             행동한다. 고전물리학이나 일상적 세계관의 입장에서 보면 이게 납득할 수



                                                                         119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