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8 - 고경 - 2022년 9월호 Vol. 113
P. 128
용을 복원하고자 진력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때문에 고려시대 불교사에
대한 사정을 알기 어려웠던 조선후기에 우리나라 불교사가 지닌 정체성과
가치를 규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자료이기도 하다.
『만덕사지』는 우선 승려들의 비문을 중심으로 한 각종 기문記文과 소疏·
시詩, 『신증동국여지승람』과 『강진현지康津縣志』와 같은 지리지와 읍지, 그
리고 먼저 찬술된 『대둔사지』도 인용하였다.
만덕사지 의 인용 자료
인 용 자 료
卷 1 新增東國輿地勝覽(3), 碑銘(2), 東文選(1), 敎書(1), 疏(1), 序文(1), 佛祖源流(1)
序文(2), 疏(1). 記文(2), 書(2), 詩卷(1), 跋文(1), 佛祖源流(2), 祭文(2), 高麗史(1),
卷 2
碑文(2), 新增東國輿地勝覽(1), 康津縣志(1), 詩(1)
卷 3 祭文(3), 疏(7), 跋文(1), 詩(13), 其他(1, 說禪文)
卷 4 記文(1), 碑文(8), 康津縣志(1), 蓮社題名錄(2), 塔銘(1), 大芚志(1)
卷 5 康津縣志(3), 記文(4), 新增東國輿地勝覽(3), 詩(26)
卷 6 疏(15), 碑文(2), 高麗史(1)
( )는 인용 회수 및 편수
표는 『만덕사지』 각 권별 인용 자료 목록이다. 인용 자료의 대체적인 경
향은 우선 승려들의 비문碑文이 찬술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사지는 권2의
고려시대 8국사와 권4의 조선시대 8대사를 중심으로 만덕사의 역사와 고
려·조선의 불교사, 관련 인물들의 시문 등의 기록으로 전개되고 있다. 우
선 비문을 통해 승려의 생애와 활동을 기술하였고, 비문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는 승려의 시문을 비롯한 찬자들의 보충설명을 수록하였다. 예컨대 권
2의 진정국사眞靜國師 천책天頙에 관한 인용 자료는 천책의 『선문보장록禪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