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고경 - 2022년 10월호 Vol. 114
P. 58

우를 찾아가 “진실로 맞기를 청하여 나가니, 가마에 타게 하여 친히 그 문도
                             7)
          들과 함께 도열하였다.” 라고 한다. 영우가 다시 동경사로 돌아오자 그의 제
          자들도 다시 그의 주변에 모여들었다. 『송고승전』에는 당시의 재상인 최신

                                                                     8)
          유崔愼由가 동경사로 돌아온 영우를 지극한 예의로써 받들었다고 한다.
           영우는 어느 날 상당上堂하여 다음과 같이 설하였다.


              “노승이 백 년 후에 산 밑에서 한 마리 물소[水牯牛]가 되어 왼쪽 겨

              드랑이 밑에다 ‘위산승모갑潙山僧某甲(위산의 승려인 아무개)’라고 다섯

              자를 쓸 것이다. 이때 위산의 승려라 부르면, 또 물소이고, 물소라
              고 부르면, 또 위산의 승려라고 할 것인데, 무엇이라고 불러야 맞
              겠는가?”
                     9)



                                                 이  구절은  후대에  다양하
                                               게 인용되는 구절이다. 이에
                                               대한  해석은  뒤로  미루겠지

                                               만, 이후 영우는 대중大中 7년

                                               (853년)  정월正月  9일  양치질
                                               과 세수를 하고 나서 편안히
                                               앉아 태연히 열반에 드니, 세

                                               수가 83세이고 법랍은 64세
          사진 5. 동경사 대웅보전.


          7)  [元]念常, 『佛祖歷代通載』 卷16(大正藏49, 640c), “固請迎而出之, 乘之以已輿, 親爲其徒列.”
          8)  [宋]贊寧等撰, 『宋高僧傳』 卷11(大正藏50, 777c), “又遇相國崔公愼由, 崇重加禮.”
          9)  [宋]道原纂, 『景德傳燈錄』 卷9(大正藏51, 265c), “老僧百年後向山下作一頭水牯牛, 左脅書五字
            云: 潙山僧某甲. 此時喚作潙山僧, 又是水牯牛, 喚作水牯牛, 又云潙山僧, 喚作什麽卽得?”


          56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