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3 - 고경 - 2023년 2월호 Vol. 118
P. 103

오래 주석했던 안심사, 공주
             의  계룡산鷄龍山  신정사神定
             寺(오늘날 신원사新元寺) 세 곳

             에 나누어 세워져 있다. 그의

             비문으로는  신익전  선생의
             아들인  분애汾厓  신정申晸
             (1628~1687) 선생이 지은 ‘백

             곡처능사비명병서白谷處能師

             碑銘幷序’와 영의정을 지낸 최
             명길崔鳴吉(1586~1647)  선생

             의  손자이자  당대  거유巨
             儒인  명곡明谷  최석정崔錫
                                         사진 7. 최석정의 글씨.
             鼎(1646~1715) 선생이 지은
             ‘백곡선사탑명白谷禪師塔銘’이 있었으나 비로 세워지지는 못하였다(사진 7).
               봉은사에 얽혀 있는 여러 역사의 장면을 생각하면서 지금이라고 인간들

             이 다를까 하는 자문을 해 보았다. 봉은사를 세우고 내세의 복을 빌었던

             선릉과 정릉의 무덤도 임진왜란 때 왜군들에 의해 모두 파헤쳐져 현재 내
             부에는 왕과 왕비의 시신은 없이 비어 있는 형편이다. 문정왕후도 이장까
             지 한 남편의 능인 정릉 묘역에 묻히지 못하고 태릉泰陵에 묻혔다. 왕이

             되어서도 친모에게 휘둘리며 살았던 명종은 강릉岡陵에 묻혀 친모 곁에

             누워 있다. 사찰을 세우고 많은 공양供養을 올리며 내세의 복을 빌어도 소
             원성취所願成就와 극락왕생極樂往生은 이루어지지 않는 모양이다. 붓다가
             무엇을 말했는지를 바로 보라! 직지直指! 아수라阿修羅의 인간세상에 대한

             백곡선사의 생각이 엿보이는 시가 있다.



                                                                         101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