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0 - 고경 - 2023년 2월호 Vol. 118
P. 100
시 유학자들도 다들 인정하였는
데, 어설프게 유학 운운하며 백
곡화상에게 대들어 끝장논쟁을
벌일 만한 유학자가 과연 있었
을까. 그래서 백곡선사를 ‘때려
죽이자’고 한 말은 나오지 않았
는지도 모른다.
신익성 선생은 병자호란 때
끝까지 항복할 수 없다고 하여
그의 동생 동강東江 신익전申翊
全(1605~1660) 선생과 함께 ‘척화
오신斥和五臣’으로 찍혀 심양瀋
陽으로 끌려갔으나 그에도 굴하
지 않았다(사진 4, 5). 지행합일知
사진 4. 신익성의 글씨.
行合一의 모습이다. 그의 아버지
는 영의정을 지낸 상촌象村 신흠申欽(1566~1628) 선생이다. 백곡선사는 스승
인 낙전당 선생의 이런 지행합일의 모습도 보았으리라. 백곡선사는 스승
의 높은 학덕과 고매한 인품을 읊기도 하고 심양에 끌려가고 없는 스승의
텅 빈 집을 지나면서 슬퍼하는 시를 짓기도 했다.
현종은 이 정직하고 치밀한 상소를 읽어보았다. 그날 이후 봉은사와 봉
선사를 없애는 조치는 사라졌다. 그래서 봉은사와 봉선사가 살아남았고,
더 나아가 이 땅에 불교가 생명을 이어갈 수 있었으리라. 역사의 이 장면
을 살아낸 그들의 삶은 이렇게 치열했다. 그런데 1665년(현종 6) 화재로 봉
은사의 전각들은 또 불타버렸다. 이듬해 백곡선사에게는 남한산성의 승려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