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고경 - 2023년 3월호 Vol. 119
P. 27
었다.
그러나 이 형태로 만들기는 매우
어렵겠다고 여겨졌다. 재료는 나무
로 한다고 해도 장식적인 조각의 내
용이나 조각 기법 등등이 쉬워 보이
지 않았다. 불국사 다보탑을 유심
히 보았다. 학계에서는 이것이 사
리탑의 변형이라고 한다. 다보탑의
사진들을 인터넷에서 구했다. 다보
탑의 구성에 대한 여러 자료들을 모
아서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이때 사진 5. 사리탑의 최종 도면.
부여 정림사에 대한 일본 사람의 연
구와 연구 방법이 매우 크게 도움이 되었다. 이리하여 마침내 사리탑의 기
초도면을 완성했다. 기초도면을 근거로 하여 변형도 만들었다.
이것은 여러 가지 독창성이 있어서 큰스님께서도 좋아하실 것 같았다.
다보탑을 기준으로 하여 재해석한 것이다. 세부 조각이 없어서 제작도 어
렵지 않게 여겨졌다. 나무로 제작하여 실내에 모시기로 했다.
기초도면이 완성된 무렵, 두 사람이 새로 동참하게 되었다. 오래 전 큰
법당 불사에서도 함께 일을 했던 이 분야의 전문가들이다. 기초도면을 기
준으로 하여 여러 곳을 새로 수정하고 보완했다. 기초도면에서 상륜부 구
조, 난간 모양, 연꽃 장식, 기둥 모양 등이다. 가장 많이 보완한 곳은 사리
장치이다.
다보탑에 관한 자료인 묵서지편의 존재도 알게 되었지만, 사리를 어느
층에 어떻게 모셨는지는 알 수 없었다. 또 사리구가 보이도록 할 것인가에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