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 고경 - 2023년 3월호 Vol. 119
P. 28
대해서는 주변에서는 모두 반대
했지만, 보이도록 시도해 본 이후
에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 이리하
여 마침내 사리탑의 기본 형태가
완성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수정
을 거쳐 최종 사리탑의 형태를 마
무리했다.
3층 목탑으로, 사리와 사리구가
보이는 구조이다. 수정의 사리구
를 연꽃 모양 사리용기 안에 안치
하였다. 사리는 백련암에서 원택
스님이 보관하고 있던 큰스님 진
신사리를 모셔 왔다.
사진 6. 옻칠 단청을 하기 전의 사리탑.
맨 윗단에는 사리용기를 모셨
다. 단의 옆으로는 8개 광창을 설
치했다. 또 탑의 2층 천정을 그물
모양으로 하여 탑의 아래에서도
위쪽의 사리용기가 보이도록 했
다. 그러나 탑의 높이가 있어서 사
리는 쉽게 보이지 않는다. 사리용기
를 모신 부분에는 법당 건축에 단청
을 하듯 옻칠을 한 후에 채색했다.
중간 단에는 큰스님의 설법상
사진 7. 사리장엄구. 을 모셨다. 처음에는 CNC라는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