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5 - 퇴옹학보 제17집
P. 275
현대 한국불교 고승연구의 흐름과 성찰 • 275
는 것이기도 하다. 넷째, 고승들의 근현대 불교개혁론이다. 한국불교는
일제강점기→해방→한국전쟁→정화운동→개혁운동 등을 경험하면서
약 100여 년의 시간을 견뎌왔다. 사상과 수행, 교육 포교와 같은 불교
존립과 관련된 요소들에 대해 많은 문제 제기가 있었고, 이에 대한 대
응 역시 부침의 과정을 겪었다.
1. 근현대고승연구에 대한 반성과 과제
한국불교사 연구에서 근현대불교사 연구가 미약하다는 지적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더욱이 편중된 연구시각은 고승연구의 왜곡
과 질적 저하를 야기시킨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
용운의 경우 근현대 고승연구에서 수적 연구성과가 가장 많은 것과 비
례하여 그에 대한 연구성과가 적지 않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을 지적
하고 있다. 우선 박재현은 “만해는 분명 근대를 대표한 승려지만 그 대
표성이라는 것이 정치 사회적 맥락이나 문학적 맥락에서 얘기되는 경우
가 대부분이다. 그가 승려였음에도 정작 그의 불교사상에 대해 본격적
22)
으로 논하는 것이 그만큼 어렵다.”고 하였다. 그는 학계는 “식민지 시
대라는 역사적 상황에만 주목한 까닭에 불교라는 종교가 내포하고 있
23)
는 본질적이고 보편적인 문제의식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고 지적했
으며, 이러한 연구방법론상의 문제점은 비단 만해뿐만이 아니라 한국
22) 박재현(2007), 109.
23) 박재현(2007),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