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8 - 퇴옹학보 제17집
P. 288

288 • 『퇴옹학보』 제17집




            르렀다. 그것은 중도적 인식을 바탕으로 깨달음에 대한 이해가 정립된

            다음 다른 종교를 이해할 때 오히려 한국불교의 가치가 부각될 수 있다
                                                   53)
            는 생각에서 제시된 방안이라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성철은 교단의
            미비한 점에 대해서도 많은 개혁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재화의 올바른

            사용과 조직의 투명성, 교육을 통한 우수한 수행자 양성을 통해 미래
            사회에 대한 방향을 예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더 나아가 재

            가자로서 포교를 담당할 인재의 양성을 통해 한국불교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 해결한다면 불교의 사회적 지평이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이 그

                          54)
            의 생각이다.”고  하였다.
               근현대 고승들의 개혁사상 가운데 불교전통의 사상이나 수행과 일차
            적으로 관련된 부분만을 살펴보았다. 그들의 개혁론에서 본격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Ⅴ. 맺음말-현대불교 고승연구의 가치와 과제




               전통시대의 고승 연구는 불교수용과 유통의 과정에서 위상과 가치를

            천명하기 위한 시도였고, 시간이 지날수록 맹목적인 호교론적 입장이
            아닌 행적과 공적의 객관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사의 범주에서

            이해되었다. 이것은 종교가 지닌 신비주의적 경향이나 흔히 인물사에서




            53)  김경집(2005), 253.
            54)  김경집(2005), 254.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