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6 - 퇴옹학보 제17집
P. 286
286 • 『퇴옹학보』 제17집
라는 기본적인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문 문헌 중심의 불교를 굳건히 유
지한 상태에서 근대불교학의 문헌학적 성과를 방편으로 활용했다고 보
아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48)
4. 근현대불교의 개혁
‘개혁’은 근대고승들의 화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한용운의
개혁사상은 근현대불교의 상징성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정혜정은 만해
의 불교유신사상이 어떻게 근대사조의 성찰 속에서 주체적으로 전개된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만해의 불교유신사상은 한국불교의
전통적 사유를 계승하면서도 서구 근대사조를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토
49)
착적 근대화를 이끌어낸 것”이라고 정의했다. 정해정은 “만해가 주목
한 근대사조는 자유주의, 평등, 박애, 구세주의, 세계주의, 사회진화론,
사회주의 등이었지만, 이 모두는 서구 근대 개념을 그대로 이행한 것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즉 만해의 자유는 양계초와 칸트의 진아론을 논하
면서 비판적으로 전개된 것인데, 이는 단순히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뜻하는 정치적 종교적 자유뿐만 아니라 궁극적 진리와 깨달음에 이르
는 근원적 자유를 내포한 것이었다. 즉 그의 자유란 개인적 자유와 공
유적 자유를 모두 아우르는 동시성을 의미하고, ‘唯我獨尊’으로 총칭된
다. 유아독존이란 전체를 아우르는 독존이기에 걸림 없는 자유요 자타
48) 최원섭(2015), 49.
49) 정혜정(2017),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