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6 - 퇴옹학보 제17집
P. 286

286 • 『퇴옹학보』 제17집




            라는 기본적인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문 문헌 중심의 불교를 굳건히 유

            지한 상태에서 근대불교학의 문헌학적 성과를 방편으로 활용했다고 보
            아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48)



            4. 근현대불교의 개혁




               ‘개혁’은 근대고승들의 화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한용운의
            개혁사상은 근현대불교의 상징성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정혜정은 만해

            의 불교유신사상이 어떻게 근대사조의 성찰 속에서 주체적으로 전개된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만해의 불교유신사상은 한국불교의
            전통적 사유를 계승하면서도 서구 근대사조를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토

                                          49)
            착적 근대화를 이끌어낸 것”이라고  정의했다. 정해정은 “만해가 주목
            한 근대사조는 자유주의, 평등, 박애, 구세주의, 세계주의, 사회진화론,

            사회주의 등이었지만, 이 모두는 서구 근대 개념을 그대로 이행한 것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즉 만해의 자유는 양계초와 칸트의 진아론을 논하
            면서 비판적으로 전개된 것인데, 이는 단순히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뜻하는 정치적  종교적 자유뿐만 아니라 궁극적 진리와 깨달음에 이르

            는 근원적 자유를 내포한 것이었다. 즉 그의 자유란 개인적 자유와 공
            유적 자유를 모두 아우르는 동시성을 의미하고, ‘唯我獨尊’으로 총칭된

            다. 유아독존이란 전체를 아우르는 독존이기에 걸림 없는 자유요 자타




            48)  최원섭(2015), 49.
            49)  정혜정(2017), 127.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