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0 - 퇴옹학보 제17집
P. 70

70 • 『퇴옹학보』 제17집



            I. 서언




               한국불교는 오랫동안 스스로의 정체성을 대승불교(Mahāyāna)에 두

            고 있었다. 한국불교 사찰 불단의 중앙은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샤

            꺄무니 붓다(Śākyamuni Buddha)의 상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불교 행
            사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반야심경(Prajñāpāramitāhṛdaya sūtra)이 합송

            되며 대한불교조계종은 금강경(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을 소
            의 경전으로 삼고 있다. 근대 이전까지 동아시아 대승불교의 핵심경전

            이라고 할 수 있는 반야심경과 금강경 그리고 법화경(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과 화엄경(Avataṃsaka sūtra)이 역사적으로 실존했었던 샤꺄무니
            붓다의 가르침이라는 것에는 어떠한 의심도 없었다. 근대 이후 불교경

            전들에 대한 연구에 서구의 문헌학적 방법론이 적용되면서 역사적인 붓
            다와 대승불교 경전들 사이에는 적어도 300~400년 이상의 간격이 있

            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오늘날 반야심경, 금강경, 법화경, 화엄경 등의

            대승불교 경전이 역사적인 붓다의 시대에 만들어졌다고 보는 사람은 거
            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현대 한국불교는 신앙의 대상으로서 샤꺄무니 붓다와 자

            주 합송하고 소의경전으로 삼고 있는 대승불교의 경전들 사이에서 정
                                                     1)
            체성 문제에 빠질 수밖에 없게 된다. 대승비불설 이란 이름으로 우리에
            게 알려진 논의들 속에서 한국불교는 과연 자유로울 수 있을까? 어떻





            1)  퇴옹성철(2014), 113~12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