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4 - 퇴옹학보 제18집
P. 74

74 • 『퇴옹학보』 제18집




            1. 승조: 인도불교적 中道觀



               승조는 이러한 空의 사유를 제대로 이해하고자 한 중국 최초의 인

              2)
            물 일 것이다. 이 空의 中道에 대한 이해에서 이 장은 「物不遷論」과 「不
            眞空論」을, 다음 장의 실천 부분에서는 「般若無知論」과 「涅槃無名論」
                                      3)
            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승조 저작의 대표적 주석가인 원
            강의 『肇論疏』에서 「物不遷論」을 有의 속제, 「不眞空論」을 空의 진제,
                                                                    4)
            「般若無知論」을 원인으로서 반야, 「涅槃無名論」을 결과로서 열반 으로
            분류한 것을 참고한 것인데, 「物不遷論」은 시간의 측면에서, 「不眞空論」

            은 존재의 측면에서 중도의 공을 제시한다.
               승조는 용수의 사상을 모델로 삼아 6가7종 등 당시 사상계가 현학의

            영향으로 용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을 안타까워하며 이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담론들은 大乘의 空
                                                      5)
            宗에 대해서 매번 같지 않은 견해들을 피력한다.” 고 비판한다.
                                                                 6)
               「物不遷論」은 소승인 설일체유부와 같다는 비판도 받지만,  당시 중



            2) 카마타 시게오, 장휘옥 역(1997), 301.
            3)  승조의 저작은 『肇論』 한 권으로 그 안에 「宗本義」, 「般若無知論」, 「物不遷論」, 「不眞空論」,
              「涅槃無名論」의 5가지가 구성되어 있는데, 「宗本義」는 승조의 저작이 아니라는 주장이 많
              고, 「涅槃無名論」은 ①위작, ②그의 저작, ③그의 저작이나 일부 수정 등 여러 견해가 있는
              데, 최근 ③의 견해로 집약된다. (양순애(2012), 「『肇論』의 相卽觀 연구」(경북대 대학원 박
              사학위 논문), 15. 111- 119.)
            4)  元康, 『肇論疏』(T45, 1859), “第一物不遷論, 明有申俗諦敎. 第二不眞空論, 明空申眞諦敎.
              第三般若論, 明因申般若敎. 第四涅槃論, 明果申涅槃敎.”
            5)  「不眞空論」(T45, 1858), “爾談論, 至於虛宗, 每有不同.”
            6)  物不遷에 대해 唐代의 화엄종 4대조인 澄觀이 소승이 넘쳐난다(『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