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 - 고경 - 2018년 12월호 Vol. 68
P. 60
대하기 때문에 전부 언급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유식관련 논서와 주석서
1)
만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유식 논서로는 유식사상을 30개의 게송으로 총 정리한 『유식
삼십송(唯識三十頌, triṃśikāvijñaptikārikā)』, 업 사상을 유식의 입장에
서 기술한 『대승성업론(大乘成業論, karmasiddhi)』, 20개의 게송으로 외
계실재론자와 대론하면서 유식무경을 논증한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
viṃśatikāvijñaptimātratāsi ddhiḥ)』, 오온으로 유식사상을 설명한 『대승오온
론(大乘五蘊論, pañcaskandh aka)』, 삼성설(변계소집성, 의타기성, 원성실성)을 체
2)
계적으로 정리한 『삼성론(三性論, trisvabhāva)』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유식 논서에 대한 주석서로는 친형 무착 보살의 저작으로 대승
을 포괄하는 논서라는 의미의 『섭대승론』을 주석한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
mahāyānasaṃgraha-bhāṣya)』, 미륵보살의 저작으로 대승경전의 장엄을 목
3)
적으로 기술한 『대승장엄경론』 을 주석한 『대승장엄경론석(大乘莊嚴經論釋,
mahāyāna-sūtrālaṃkāra-bhāṣya)』, 미륵의 저작으로 중도와 유무의 양극단
을 밝힌 『변중변론석』의 주석서인 『변중변론석(辨中邊論釋, madhyāntavibhāga
-bhāṣya)』 등이 있습니다. 이 이외에도 불교 전체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
며, 모든 불교의 기초문헌 중의 하나인 『구사론』, 경전을 어떻게 해석할 것
인가라는 방법론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 『석궤론(釋軌論, Vyākhyāyukti)』 등
4)
1) 자세한 것은 『오온과 유식』(2018), pp.29~32. 참조 바란다.
2) 38게송[티베트 역은 40게송]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스크리트본과 티베트 역은 현존하지만, 한역은
현존하지 않는다.
3) 『대승장엄경론』에 대해서는 김명우(2008), 『유식의 삼성설 연구』, 한국학술정보. 참조 바란다.
4) 티베트 번역본만이 현존하고 있지만, 원제목은 산스크리트 문헌에서 확인 가능하다. 아직 본격적인
연구는 되지 않았지만, 궁금하신 분은 『석궤론』에 관한 연구는 이종철 교수의 『世親思想の硏究―釋
軌論を中心として』(山喜房, 2001)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