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 - 고경 - 2018년 12월호 Vol. 68
P. 92

점에서, 풀무덤=초분草墳(=1차 장葬)을 통해서 탈육脫肉한 후 세골장洗骨葬
           (=2차 장葬. 원장/본장)을 하는 이중장제二重葬制와도, 시신의 소멸을 조류에
                                                 7)
           맡기지 않는다는 점에서 조장과도 다르다.  이를 증명해주는 기록들이
           있다. 즉 『오월춘추吳越春秋』에서 “옛날에는 사람들이 질박하여…사람이

           죽으면 띠풀로 싸서 들판에 버렸는데, 효자는 부모가 날짐승 들짐승에게
           먹히는 것을 차마 보지 못해서 활을 쏘아서 지키고, 날짐승 들짐승의 해
                     8)
           를 끊었다.” 라고 한다. 이를 보면 매장 이전에 천장을 하지만 들짐승 날
           짐승들이 시신을 해치는 것을 막았음을 알 수 있다. 어쨌든 풍장 혹은 조

           장 같은 ‘천장’이 진행되다가 차츰 ‘매장埋葬’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장葬’은 ‘잡풀 우거질 망茻’과 ‘죽을 사死’ 합한 것




             사실 장사 지낼 ‘장葬’ 자는 ‘잡풀 우거질 망茻’ 자와 ‘죽을 사死’ 자를 합한
           것이다. 글자 그대로 사람이 죽으면[死(=屍身)] 풀섶[茻]으로 싸서 들판에 내
           다버려두었던 풍습과 관련된 것이다.[도표1 참조] 망茻은 풀[屮]이 우거진 모

           양이다. 사死 자는 앙상한 뼈 알歹 자에 사람 인人 자를 합친 것으로 사람이

           죽어서 뼈만 앙상하게 남은 것을 말한다. 그러니까 장葬은 원래 죽은 이를
           풀섶으로 싸서 들판에 내다버린 모양이다. ‘사死’ 자 시(尸, 屍)의 최초표기






           7)  천장을 조장鳥葬이라 보기도 하는데, 조장이란 풀이 우거진 수풀 속에 내다버려 새나 짐승, 벌레가 시

             신을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런데 후술하는 조弔 자가 말해주듯이 짐승들을 쫓는 것이 있기에 조
             장으로 보기는 어렵다. 조장과 풍장에도 지역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한다. 풍장 등에
             대해서는 장철수, 『옛무덤의 사회사』, (웅진출판주식회사, 1995) 및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초분』, (국립민속
             박물관, 2003)을 참고 바람.
           8)  『吳越春秋』 卷九: 古者人民朴質, 饑食鳥獸渇飲霧露, 死則裹以白茅, 投於中野, 孝子不忍見父母為禽

             獸所食, 故作彈以守之, 絶鳥獸之害.


           90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