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 고경 - 2019년 4월호 Vol. 72
P. 87

납니다.

              그러나 ‘착한 일[선]’을 하거나 혹은 ‘나쁜 짓[불선]’을 하면 그것은 현재
            세뿐만 아니라 미래세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너무나 당연한 말

            일지도 모르겠지만,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의 삶을 열심히 살면서 선
            한 일은 많이 하고 악한 짓은 하지 말아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불교에

            서는 수선단악(선을 닦고 악을 끊는다)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지면 관계상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호에는 말나식과 함

            께하는 심소[마음작용], 특히 4가지 번뇌[아치, 아견, 아만, 아애]와 말나식은
            어느 단계에서 소멸하는지를 기술하겠습니다. 나마스테namaste!

































             허암   불교학자. 유식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유식삼십송과 유식불교』·『마음공부
             첫걸음』·『왕초보 반야심경 박사되다』·『범어로 반야심경을 해설하다』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마음
             의 비밀』·『유식불교, 유식이십론을 읽다』·『유식으로 읽는 반야심경』 등이 있다.



                                                                        85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