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9 - 고경 - 2019년 4월호 Vol. 72
P. 99

유식 이야기 11



            유루에서 무루로 - 눈물 없는 세상을 위한 여정



                                                  정은해 | 성균관대 초빙교수·철학





              세간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불교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낱말이 유

            루有漏와 무루無漏라는 것이다. 유루란 누출이 있다는 말이고, 무엇의 누
            출인가 하면, 번뇌와 고통의 누출이라고 한다. 간단히 눈물의 유출이 있

            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상응해 눈물이 없는 것을 무루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눈물을 있게 하는 법을 유루법이라 하고, 눈물을 없

            게 하는 법을 무루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유루법에 해당하는 것은 3성, 곧 선(유루선, 무루선), 악, 무기(유부무기, 무

            부무기) 중에서 유루선, 악, 유부무기, 무부무기이다. 무기無記란 선이나
            악으로 기입될 수 없다는 말이니, 선이나 악으로 분류될 수 없다는 말이

            다. 유부有覆란 가림이 있다는 말이니, 곧 무분별지를 가린다는 말이다.
            마찬가지로 무부無覆란 무분별지를 가림이 없다는 말이다. 전6식의 성품

            은 유루선, 악, 유부무기에 통하고, 제7말나식은 유부무기이고, 제8아뢰
            야식은 무부무기라고 한다.

              그렇다면 3성은, 곧 선, 악, 무기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별되는 것인
            가? 이에 대해 현장玄奘이 편찬한 『성유식론』에서는 두 세계에서 지속될

            수 있는 성품을 지녔는가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6전식은 [3성 중에서] 어떤 성품에 포섭되는가? 말하자면,



                                                                        97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