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고경 - 2019년 11월호 Vol. 79
P. 31

제 스스로 복 얻거나 천상에 남을 구함이 아니요

                모든 중생이 함께 같이 무상보리 얻어지이다
                我今發心  不爲自求  人天福報

                願與法界衆生  一時同得  阿耨多羅三藐三菩提
                …(중략)…”



              그리고 끝에 가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중생들과 보리도에 회향합니다[廻向衆生及佛道].”



              일체중생을 위해, 남을 위해 참회하고 기도했으니 기도한 공덕이 많습

            니다. 이 모든 공덕이 다, 모두 일체중생에게 가라는 것입니다. 그러고도
            부족하여 이렇게 말합니다.



                “원하노니 수승하온 이 공덕으로

                 위없는 진법계에 회향합니다
                  願將以此勝功德  廻向無上眞法界.”



              그래도 혹 남은 것, 빠진 것이 있어서 나한테로 올까봐 다시 한 번 모

            든 공덕이 온 법계로 돌아가고 나한테는 하나도 오지 말라고 발원합니다.
              이것이 인도에서부터 시작하여 중국을 거쳐 신라, 고려에 전해 내려

            온 참회법입니다. 중국도 공산화 이전에는 총림에서만이 아니고 모든 절
            에서 다 ‘참회’해 온 것입니다. 일체중생을 위해, 일체중생을 대신해 모든

            죄를 참회하고, 일체중생을 위해 모두 기도했습니다. 이것이 참으로 불교



                                                                        29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