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1 - 고경 - 2020년 1월호 Vol. 81
P. 91
『 』 제81호 | 불화의 세계 1 우리들의 삶은 대체로 모호한 상
태에서 목적지를 향해 나아가다가
언젠가는 더 이상 선택할 수 없는 상
황에서 죽음을 맞이한다. 그러한 ‘죽
시왕도와 지옥 음’이라는 특수한 처지에 다다랐을
때, 죽음 이후는 육신을 잃은 ‘중음
中陰’ 상태가 된다. 육신을 잃었지만
이은희 불화가·철학박사 정신과 마음이 살아있는 중음 상태
를 완전히 죽은 것으로 볼 수 있는
지, 또 세상이 정의하는 ‘죽음=육신
의 죽음’이라는 단계 이후에 어디로
가는 것인지 …. 이러한 물음은 살아
가면서 누구나 한 번 아니 몇 번 쯤
가져보는 의문이라 하겠다.
사찰의 명부전에는 가운데 지장보
살을 본존으로 좌협시로 도명존자,
우협시에 무독귀왕으로 삼존을 이루
고 다시 도명존자 옆으로 1, 3, 5, 7,
이은희 위덕대 미술학부 졸업, 같은 대학
9 대왕을 배치하고, 무독귀왕 옆으
원 박사과정 졸업, 철학박사. 대한민국미
술대전 특선 및 입선, 대한민국 한겨레미 로 2, 4, 6, 8, 10 대왕을 배치한다.
술대전 대상 수상, 한국미술대전 최우수상
수상 외外 공모전 다수 수상. 단체전 및 초 망자와 관련된 이러한 시왕의 개념
대전 300여 회. 김해시청 벽화공모전, 전
은 당말唐末 오대五代 『불설예수시왕
통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저서로 『미술
실기전서-산수화의 이해와 실기』(공저) 등 생칠경佛說預修十王生七經』(이하 『예수시
이 있다. 현재 위덕대 평생교육원에서 강
의하고 있다. 왕경』)에 의거해 하나의 완전한 신앙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