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9 - 고경 - 2020년 1월호 Vol. 81
P. 99
교가 발전할 수 있었던 양상을 보기 이전에 서북인도가 갖고 있던 수많은
배경의 단편이나마 살펴보는 것이 향후 실크로드, 불교 그리고 동아시아
불교에 대한 이해를 돕는 일이라 생각된다. 그런 의미에서 프롤로그의 형
식으로 우선 서북 인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간다라 지역은 경제 네트워크의 중심
실크로드가 탄생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고대 문명 발전에 대한 인간의
욕구가 가장 큰 이유였겠지만, 바로 그 욕구를 메꾸어주면서 동시에 그
욕구를 본능적으로 채워나갔던 서북 인도의 중계무역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중계무역과 관련해 주로 언급되는 국가는 쿠샨제국이다. 그러나 그
이전부터 서북 인도를 통해 인도가 동서교역의 중심에 있었다는 것은 적
어도 아소카Asoka 시대부터로 추정해볼 수 있다. 아소카왕이 세운 마애
법칙磨崖法敕 가운데 제2장, 제5장, 제13장에는 당시 영토, 변방인 등을
서로 비교해 놓고 있다. 이에 의거해보면 당시 영토는 서북 인도의 요나
1)
Yona, 깜보자Kamboja, 간다라Gandhara가 포함되어 있다.
서북 인도는 알렉산드로스 원정 이전엔 페르시아 지배하에 있었고, 알
렉산드로스 원정과 함께 그리스인(당시 ‘요나’라 칭함)들이 이주해 정착한 곳
이다. 때문에 이곳에서 발견되는 마애법칙은 카로슈티, 아람어 등 이곳
주민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쓰여져 있다. 다양한 언어를 활용했다는 점은
서북 인도가 당시 정치·경제·외교 등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거점지역
1) 츠카모토 게이쇼 지음, 호진·정수 옮김, 『아쇼까왕 비문』, 서울;불교시대사, 2008, pp.21-38.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