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4 - 고경 - 2020년 1월호 Vol. 81
P. 104
『 』 제81호 | 『백일법문』 해설 81 불교를 행위의 종교라고 한다. 탄
생의 종교로 불리는 브라마니즘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브라만적 전통
에서는 태어난 가문이 어떤 계급인
사람의 본성은 가에 따라 개인의 신분과 계급이 결
타고 나는 것인가 정된다. 이런 특징은 굳이 고대인도
의 예를 들지 않아도 우리나라를 비
롯해 과거 신분사회에서 공통적으로
서재영 성균관대 초빙교수 나타나는 특징이기도 하다.
행위의 종교와 불성의 보편성
그러나 부처님은 사람은 태생이
아니라 행위에 따라 귀천이 결정된
다고 하셨다. 따라서 불교에서는 사
람의 태생이나 신분과 같은 조건을
근거로 한 차별을 부정한다. 사람을
구별 짓는 것은 타고난 신분과 계급
이 아니라 업業이라는 행위에 따라
결정될 뿐이다. 이런 가르침은 현재
서재영 동국대 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
학원에서 「선의 생태철학연구」로 박사학 처한 상황이나 조건이 아니라 모든
위를 받았다. 동국대 연구교수, 조계종 불
인간에게 보편적 존엄성을 부여하는
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불교신문 논설위
원, 불광연구원 책임연구원 등을 거쳤다. 것을 의미한다.
저서로 『선의 생태철학』 등이 있으며, 포교
사이트 www.buruna.org를 운영하고 있다. 부처님의 이런 평등사상은 대승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