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고경 - 2020년 5월호 Vol. 85
P. 57

된 배에 실린 문수 보살상과 보현 보살상

            이 바다를 건너와 한송사와 함께 보현사
            가 일시에 건립되었다.”는 것이다. 즉 두

            보살상을 모시기 위해 보현사와 한송사
            가 창건되었다는 것인데 여기에 등장하

            는 한송사의 옛 명칭은 문수사로 『삼국유
            사』에도 이곳의 석탑에 대한 내용이 전하

            고 있다.



              강릉 보현사 ‘노老문수’ 보살상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의하면
            “문수사는 강릉부 동쪽 해안에 있다. 이
                                                            사진 4. 중수기(1599).
            곡의 『동유기』에는 ‘사람들이 문수 보살
            과 보현 보살 두 석상이 땅에서 솟아나왔

            다고 한다’는 기록이 있다.”고 한다. 아마 조선 후기에 편집된 『임영지』의
            내용은 이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보현사에는 1599년에 상원사 문수 동자상과 함께 중수된, 나무로 조
            성된, 현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73호로 지정된 보살상이 있다. 필자는

            2017년 10월 보현사 보살상의 보물 승격을 위한 조사에 참여하게 되었는
            데 이때 새로운 자료를 접하게 되었다. 상원사 문수 동자상에서 발견된

            1599년 중수기 속의 ‘노老문수’의 존재를 확인하게 된 것이다.
              필자가 조사할 당시 이미 대부분의 복장물은 유형문화재 지정 때 개봉

            되어 조사된 상태였다. 보살상에서 꺼낸 복장물 가운데 후령통만 황초폭



                                                                        55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