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 - 고경 - 2020년 5월호 Vol. 85
P. 93

3. 표제어의 성격


              제왕帝王의 권위가 절대적이었던 시대를 반영하듯 수록된 표제어를 보

            면 제1권에 먼저 제왕을 비롯하여 재신宰臣과 유사儒士 등 권세가와 관련
            된 공안을 배열하였다. 그리고 제2권에는 불조와 관련된 내용으로 불조

            佛祖와 법신法身과 불상佛像이 보인다. 제3권은 사원에 시설된 건축물로서
            가람伽藍·전당殿堂·탑묘塔廟·장실丈室·문호門戶·교로橋路이다. 제4권

            은 총림의 수행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조교祖敎·문법問法의 공안이다. 제
            5권은 납자들의 실참과 관련된 것으로 설법說法·선정禪定·오도悟道·대

            오大道이다.
              제6권은 선지식이 납자를 교화하는 방편으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시중

            示衆·감변勘辨·방할棒喝이다. 제7권은 납자에게 참구방식으로 제시한
            기관으로 원상圓相·대기對機·빈주賓主·가풍家風이다. 제8권은 납자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교학적인 이해로서 경교經敎·간경看經·강경講
            經·논의論議·조게祖偈이다. 제9권은 총림의 직무분담과 관련된 것으로

            성명姓名·두수頭首·지사知事·시자侍者·법속法屬·니녀尼女·행동行童
            이다. 제10권은 납자의 경지를 시험하는 선리禪理로서 인경人境·심안心

            眼·지체肢體·진상眞像이다.
              제11권은 총림의 습의 및 예법과 관련한 주산住山·암거庵居·계율戒

            律·참학參學·예배禮拜·성방省訪이다. 제12권은 총림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행위와 관련된 유산遊山·치서馳書·연화緣化·응화應化·신이

            神異·인과因果·목욕沐浴·언식偃息이다. 제13권은 일생에서 겪어야 하
            는 노·병·사와 관련된 문질問疾·의복醫卜·약이藥餌·천화遷化·추기

            追忌이다. 제14권은 통과의례 내지 기후와 관련한 세시歲時·해결解結·



                                                                        91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