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2 - 고경 - 2021년 1월호 Vol. 93
P. 132
도였으니 절의 규모는 작았을 것이고, 그 이후 선종이 신라 왕실과 지방호
족들의 지원을 받으면서 사세가 조금씩 확장되다가 고려에 들어오면서 본
격적으로 커졌다고 보인다. 이렇게 하여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세
조世祖대에 이르기까지 진전사에는 많은 당우들이 대규모로 축조되고 선
종사찰의 중심으로 왕성하게 그 역할을 한 것으로 짐작된다. 『삼국유사』를
지은 일연(一然, 1206-1289) 선사도 이곳에서 대웅 장로大雄長老에게 구족
계具足戒를 받았다고 한다(사진 4).
『삼국사기』를 보면, 도의선사가 신라로 귀국하여 활동한 사실에 관한 내
용은 없다. 그 무렵 신라에서는 가뭄과 기근이 들어 백성들이 굶어 죽고
자손들까지 팔아먹는 일이 발생했고, 웅천 도독 김헌창金憲昌이 자기 아버
지 김주원金周元이 왕이 되지 못했다며 반란을 일으켰다가 잡혀 죽고, 또
그 아들 김범문金梵文이 여주 고달산高達山에서 도적떼들과 다시 반란을 일
으켰다가 잡혀 죽었다. 이런 와중에서도 왕실에서는 당나라로 국비유학생
12명을 보냈다. 역사에서 이 시기는 선덕왕이후 신라 멸망까지 150여 년간
20여 명의 왕이 왕위쟁탈전을 벌였다고 기록된 시기이다. 이런 권력투쟁의
혼란 속에 장보고(張保皐, 787-846)도 왕위쟁탈전에 끼어들어 군대를 동원
하여 839년에 김우징金祐徵을 신무왕神武王으로 옹립하고 벼슬을 차지하였
다가 문성왕文聖王 때 다시 반란을 일으켰는데, 846년에 신무왕 옹립의 반
란 동지였던 염장閻長에게 목에 칼을 맞고 죽었다.
이 무렵 당나라에서는 도교를 신봉한 무종(武宗, 814-846)이 845년(會昌 5)
에 불교를 없애버리려고 한 도사道士 조귀진趙歸眞의 사주를 받아 회창법
난會昌法難을 일으켰다. 당시 불교 승려 90% 정도를 모두 환속시켜 버리고
장안의 사찰을 제외한 전국의 불교 사찰을 모두 불태워 없앴다. 살아남은
승려들은 심산유곡으로 피하였고, 신라의 도당유학승渡唐遊學僧들은 외국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