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0 - 고경 - 2021년 2월호 Vol. 94
P. 80

師碑」(4-8호)을 발굴하여 본문
                                              에 현토를 달고 상세한 주해를
                                              달아 연재하였다(사진 4). 그가

                                              대흥사에  소장된  자하산인紫

                                              霞山人의  『대동선교고大東禪敎
                                              考』를  발굴하여  현토를  달아
                                              소개하고(1-3,  5호),  자하산인

                                              이  다산  정약용이라는  것을

                                              밝힌 것(8호)은 이 시대 불교사
                                              연구의 성과임이 분명하다(편자
                                              인  ‘기자’는  박한영으로  판단한다).

                                              박한영의 학적 탐구는 이처럼

                                              근대에 유입된 신학문, 선종의
          사진 5. 『해동불보』 1호 무공적 란(초의 한시).
                                              정전에 대한 번역, 한국 불교사
                                              의 원천 자료 발굴과 주해 등

          다양한 편폭을 보여준다.

           최동식은 여러 필명과 ‘기자’ 이름으로 많은 사료를 소개했는데, 이는 한
          국불교사의 정립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사료가 된다. 무의자 혜심의 시(조
          계록), 실상사 통도사 송광사 영원사 용두사 김해 은하사 사적 관련 비문,

          시, 기문이 대표적이다. 인물로는 설파대사, 환성대사, 편양당, 풍담당, 함

          명당, 대각국사, 침명당과 관련된다. 특히 선암사와 관련된 함명당비의 음
          기陰記와 침명당 행장은 최동식이 직접 한문으로 작성하여 수록하였다.



          19-20세기 지성의 계보와 교류     『해동불보』에는 19세기에 진행된 유가와



          78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