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8 - 고경 - 2021년 2월호 Vol. 94
P. 78
『해동불보』의 목차에 수록
된 글의 편수는 124편이다.
이중 박한영은 35편, 최동식
은 36편의 필자로 등장하며,
기자 명의로 29편이 수록되
었다. 기자는 박한영과 최동
식을 포괄하므로, 결국 박한
영과 최동식의 글이 『해동불
보』 전체 글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해동불보』는 선
암사의 강맥을 공통의 자산
으로 삼고 있는 두 인물, 즉
사진 3. 『해동불보』 2호 무봉탑(박한영 학술논문).
박한영과 최동식의 2인 잡지
로 규정할 수 있다.
청년의 교육과 포교 박한영은 여러 편의 논설에서 현재의 조선불교
계에 인물이 없는 것은 영재를 ‘교양’하지 않았기 때문이라 하면서(「敎養徒
弟는 紹隆三寶」, 1호), 포교를 위한 청년 도제 교양을 위해 불교의 교재개발
이 필요하며, 대승 교리를 더욱 연찬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將何以布敎
利生乎아」, 2호) 조선의 불교계도 기독교의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청년도제
를 양성하는 노력을 경주하는 등 미래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
하였다.(「佛敎의 興廢所以 深究 今日」, 4호) 이어 기존의 노승들이 학식이
부족하고 견문이 좁으며 완고하고 호기가 없어 불교를 유신惟新하기 어려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