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 고경 - 2021년 2월호 Vol. 94
P. 79
우니, 미래의 불교 청년들이
주인공으로 나서서 실천해 주
기를 당부하였다.(「靑年佛敎
界에 對하야」, 5호)
이는 만해 한용운(1879-
1944)이 1910년 탈고하고 1913
년 5월25일 간행한 『조선불교
유신론』의 불교개혁의 논리와
이어지는 내용이다. 만해가 불
교서관에서 『조선불교유신론』
을 출판하면서 표제 글씨를
박한영에게 의뢰한 것(“石顚散
人 籤”)은, 출판의 선후와 상관
없이, 9년 선배인 박한영과 만 사진 4. 『해동불보』 4호 대원경 란(사산비명).
해의 개혁 논리에 상호 공감대가 전제된 것으로 보인다.
교학 연찬과 불교사 자료 발굴(사진 3) 박한영은 실제로 『해동불보』를 자
신의 학적 탐구의 실제를 발표하며, 불교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
색하는 ‘교양’의 장으로 활용하였다. 예를 들어 「조선의 설법과 세계의 포
교」(3호)에서 ‘중류 이상의 수준에 맞는 설법’이 없는 것이 최근 우리 설법
의 문제라 지적하며, 세계의 포교 방식인 논리학(3단논법)과 상식(과학 철학
문학 사회학)을 철저히 연구하여 포교할 것을 주장하였다. 6회에 걸친 연재
물 「법보단경해수일적강의法寶壇經海水一滴講義」(3-8호)는 육조 혜능의 『법보
단경』을 ‘역술譯述’한 것이다. 그는 또 최치원의 사산비명 중 「聖住寺無染國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