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0 - 고경 - 2021년 7월호 Vol. 99
P. 80
『 』 제99호 | 불화의 세계 19 | 신중은 부처님 가르침을 수호하기
신중神衆탱화
위해 귀의한 선신善神들이다. 우리나
라 신중신앙은 신라시대에 수용됐고
고려시대에는 국난 극복을 위한 호국
부처님 가르침 수호 적 성격이 강조되어 국가 차원에서
각종 신중도량이 개설되며 크게 유행
네 가지 유형 현존
했다. 대표적인 예가 고려불화 ‘마리
지천도摩利支天圖’(사진 1)다. 마리지
이은희 불화가·철학박사
천摩利支天은 조선시대 104위 신중의
중단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신중탱화의
유형은 조선시대 후기인 17세기 이후
에 정형화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
으로 본존이 모셔진 상단上壇을 참배
하고 다음은 호법선신이 함께 모셔져
있는 신중단에 예를 갖춘다. 신중단
은 대부분의 경우 법당 중앙 좌우
측左右側 면에 봉안된다.
이은희 위덕대 미술학부 졸업, 같은 대 우리나라 신중탱화는 화엄신중신
학원 박사과정 졸업, 철학박사. 대한민국
앙華嚴神衆信仰에 바탕을 둔 것으로
미술대전 특선 및 입선, 한국미술대전 최
우수상 수상 등 공모전 다수 수상. 단체전 39위가 그 원형原形을 이룬다. 석존
및 초대전 300여 회. 김해시청 벽화공모
전, 전통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저서로 이 깨달음을 이루고 삼칠일[21일]에
『미술실기전서-산수화의 이해와 실기』(공
걸쳐 『화엄경』을 설하실 때 먼저 찬탄
저) 등이 있다. 현재 위덕대 평생교육원에
서 강의하고 있다. 하고 귀의하며 운집한 대중 가운데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