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 - 고경 - 2021년 8월호 Vol. 100
P. 92

강성찬[夢夫生]의 <행복자가 되어라>는 행복 일반론을 전개한 다음 반만
          년의 우리 역사에서 행복한 순간의 예로 첨성대 등을 들었다. 최종 문장
          은 ‘아아 불행복자여, 아아 불행복자여’로 마무리하였다. 그 앞에 2행에 걸

          쳐 삭제표기(○○)가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국권 박탈이라는 불행의 현재

          진행형에 대한 폭로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필명 외솔(실명 미상)의 <오인의 급선무는 하인가>는 실업장려를 주제어
          로 삼고 하위 항목으로 이천만 생령의 생활을 보전키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논한 글이다. ①걸인 많음으로, ②농업뿐임으로, ③○○○○,

          ④○○○○로 항목을 나누어 개진하였다. 경상도, 황해도의 걸인단이 기십
          명에서 기백 명 씩 이동하며, 강원도에 집합처가 있다는 등 당시 민초들
          의 고초 받는 실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③과 ④장은 모두 결락되었

          는데 앞서 제시한 고통보다 더 절실한 내용이 담겨있었을 것으로 추정된

          다(사진 2).
           이와 같은 현실에 대한 분석과 폭로에 이어 청년을 호명하며 그들에 대
          한 희망과 권면의 내용을 담은 논설이 게재된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라

          하겠다. 경봉鏡峰의 <대몽을 속각하여 분기하라>는 꿈을 깨 보니 우리 가

          족 문정門庭에 대변大變이 났다는 현실을 제시하고, 꿈을 깨어 맹성猛省 분
          기奮起하여 용진勇進 역행力行할 것을 주장한 글이다. 시대 인식과 청년들
          에 대한 권면의 메시지를 담은 법어이다. 오봉빈의 <청년과 희망>은 미래

          는 청년의 시대라 전제하면서 알렉산더, 나폴레옹, 워싱턴을 부러워말고

          실력을 양성하자는 주장을 폈다.
           장지연[嵩陽山人]의  <권고불교청년회제군勸告佛敎靑年會諸君>은  불교청년
          회에 대한 기대를 담은 글이다. 현금세기는 청년의 시대라 전제하며 청년

          단체 조직의 본의는 일체중생의 구제와 사회 개조에 있다고 하였다. 그리



          90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