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5 - 고경 - 2021년 10월호 Vol. 102
P. 105
『고려도경』의 기록을 중심으로 편찬
된 것은 사실이지만, 가장 많은 비
판을 받는 문헌이기도 하다. 이것은
한치윤이 중국의 문헌을 맹목적으
로 신뢰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한편 한치윤과 같은 실학자가 역
사서에 불교 관련 기록을 수록한 이
유가 무엇일까. 우선 「석지」의 편찬
은 왜란과 호란 이후 대외 인식의
변화와 자국사에 대한 자주적 인식
의 강조 아래 진행되었던 당시 실학
자들의 역사 편찬이나 그 인식과도 사진1. 『해동역사』.
직접적으로 결부되어 있다. 그러므
로 이들의 불교사 편찬은 불교사 자체에 대한 관심과 함께 당시 시대적 문
제와 결부된 몇 가지 요인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첫째, 대중국관이나 화이론華夷論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자국사에 대한
주체적 이해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그들은 우선 광범위한 사료 수집을 강
조했고, 철저한 고거주의考據主義를 근거로 역사를 서술하기도 했다. 우선
조선 후기는 대외 인식으로 인한 역사의식의 변화가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조선시대의 대외 인식은 주자학적 세계관에 기초한 화이론으로 명
나라 때까지는 화명華明·모화慕華에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17세기 명·청
교체는 전통적인 화이관과 국제 질서가 무너지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 후
기 대중국관으로 인한 역사인식의 변화는 전통적인 존명중화의식尊明中華
意識에 빠져 있던 조선인에게 충격을 주었고, 신왕조에 대한 반동적인 역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