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고경 - 2021년 10월호 Vol. 102
P. 41

마당에 면한 법당 앞이 설
             주說主의 자리가 되는 것이
             다. 그래서 실제 법당 안에

             어떤 부처님이 계시든 무조

             건 그 순간만큼 그 건물은
             영축산이어야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조선 후기에

             전각명과 주불의 불일치를

             두고 단순한 혼란이라고 이
             해하였는데, 장곡사의 예에
             서와 같이 단순한 혼란이라

             기보다는 야외의식을 중심

             으로 운영되던 사찰에서 영
             산회 설법의 장소를 구현하
                                         사진 8.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기 위해 야외의식이 설행되

             는 안마당에서 상단이 차려지는 건물은 어

             떤 불상이 봉안되어 있든지 간에 대웅전이
             라고 불렀던 것이다.
               이처럼 조선시대 장곡사도 평소에는 약사

             신앙으로 유명했지만 괘불을 펴는 날에는 약

             사불이 두 분이나 봉안된 전각임에도 대웅전
             이라는 편액을 걸었던 것인데, 그만큼 괘불
             을 내거는 야외의식은 조선후기 우리나라 사                   사진 9. 장곡사 괘불의 화기(정명희).

             찰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39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