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 고경 - 2022년 4월호 Vol. 108
P. 121

으니  도적의
             해침을 당해도
             원망하고 성내

             는  마음이  없

             는  까닭에  스
             스로  부처를
             얻어 삼계의 지

             존이 된 것이니

             라.”로  마무리
                             사진 7. 선학원의 책 광고(3호, 4호).
             된다.
               소설에서는 ‘범예왕의 침략’, ‘장수왕의 입산’, ‘바라문의 구걸’, ‘장수왕의

             사형과 최후 유언’, ‘장생태자의 복수계획’, ‘범예왕의 수렵’, ‘장생태자의 유

             혹과 발검拔劍’, ‘범예왕과 장생태자의 친화’ 등의 표제를 달아 줄거리를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소설은 대립적인 등장인물, 대화로 전개되는 흥미진진한 스토리, 상

             식을 초월하는 극적인 전개과정을 갖춘 경전 자체의 서사성을 잘 살린 흥

             미로운 작품이다.
               <부설거사>와 <육조대사>, 그리고 <장수왕의 자비>는 수행의 자세, 전
             법의 본질, 자비의 실천행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포교문학으로서 종교적 교

             양과 소설적 흥미를 모두 갖춘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선학원에서는 이

             외에 『극락가는 길』(김적음, 1932)과 『경허집』(1943)을 펴냈다. 『경허집』의 간
             행은 근대 선의 부흥조인 경허를 현양함과 동시에 조선불교의 정체성을 확
             립하고자 하는 선학원의 지향을 반영하는 것이다.






                                                                         119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