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1 - 고경 - 2022년 4월호 Vol. 108
P. 161

계율 연구의 시작에 대해, “교키行基와 보살정신이
             란 논문을 쓰던 중 대승의 보살계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역대 천황제와 신앙」, 1946)나, “나카무라 하

             지메 선생님의 권유로 불교의 사회구제사업의 초문

             을 쓰면서부터이다. 교키와 에이손叡尊 연구는 일본
             의 계율 연구의 방향성을 찾는데 결정적이었다.”(「내
             가 걸어온 길」) 등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사진 2. 저서 『일본인과 지옥』(1998).

                교키에서 신란까지, 일본불교의 계율 연구


               종합해 보면 이시다의 계율 연구 시작점은 사회복지사업, 교키, 에이손

             등으로 압축된다. 이것들이 잘 드러난 논문이 「자비와 구제-승속일체의

             자각과 실천」(1954)으로, 이시다는 『대세계』에 5회에 걸쳐 논문을 게재했다.
             논문의 핵심은 사회와 승단의 관계 규명으로 정리할 수 있다. 출가와 재가
             의 구별이 존재하는 한, “사회는 경제적 원조나 법제적 규제를, 교단은 포

             교와 구제라는 상호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지적에 대해, 이시다는 일

             본에서 승속의 이념과 존재, 승단과 사회의 관계는 “그러한 언급과는 다른
             무언가가 존재한다.”고 선을 그었다. 그 예로 교키·사이쵸·구야空也·신
             란·에이손 등의 실천 활동을 일례로 들었다.

               이시다는 쇼도쿠태자聖德太子의 ‘승속일체무차별 이념’이 승니령과 사분

             률에 의거한 수계로 인해 사라졌다고 보았다. 이를 교키·사이쵸·구야가
             승속일체의 보살정신을 발휘했고, 신란에 이르러 승속 차별이 완전히 부
             정되었다고 기술했다. 반면, 에이손은 승僧의 위치를 고집해 승속 일체에

             이르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159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