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4 - 고경 - 2022년 5월호 Vol. 109
P. 134
량의 승통 임명, 백고좌회와 팔관회 개
설, 자장과 황룡사탑, 원광과 세속오
계, 혜숙·안함·혜공·대안, 원효와
의상, 신라 3보 및 통도사 계단 등이 주
요 내용으로 언급되고 있다.
고구려의 경우는 불교를 전래한 아
도와 순도, 최초의 사찰인 성문사와 이
불란사, 고국양왕의 숭불 교지와 평양
에 사찰 9개를 세운 기록, 동진의 담시
가 요동에 와서 교화한 사실, 의연이 중
사진 3. 『조선불교사』 내지.
국에 가서 불교사를 배워온 일, 담징의
일본 도일度日 등을 주요 사건으로 다루었다. 백제는 불교를 전래한 마라
난타, 한산에 절을 세우고 승려를 출가시켰다는 기록, 아신왕의 숭불 하교,
겸익의 귀국과 율장 번역, 대통사 창건, 불상의 조성, 일본에 불교를 전한
성왕, 법왕의 왕흥사 창건과 살생 금지, 일본의 승정이 된 관륵 등이 주요
한 주제이다. 또 수로왕과 허황후, 금관(가야) 호계사 등 가야의 불교에도
관심을 가졌다.
제2편은 100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솔거의 황룡사 벽화, 분황사 관음
상과 단속사 달마상 조성, 김대성의 불국사와 석불사 조영, 염불신자 노비
욱면과 노힐부득·달달박박, 사천왕사·봉성사·감은사·봉덕사·봉은
사·영묘사 등의 성전 사원, 월명사의 도솔가, 원측과 대현, 진표 등 고승
들의 업적, 용장사와 금산사를 비롯한 사찰 관련 기록, 일본에 건너가 활
동한 한반도 계통 승려들의 면면이 하나하나 묘사되고 있다. 제3편은 35
항이며 해인사에서 시작하여 동화사, 쌍계사, 봉암사, 굴산사 등의 사찰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