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6 - 고경 - 2022년 8월호 Vol. 112
P. 136

것’이란 걸식 외에 허용되는 것을 말한다.
           승차식은 재가 신자가 특정한 승려를 지정하지 않고, 승가에서 정한 차
          례에 따라 베푸는 음식이고, 별청식은 재가 신자가 특정한 승려를 지정하

          여 베푸는 음식이다. 청식은 재가 신자의 초청으로 재가 신자의 집에 가서

          먹는 음식이다. 행주식은 재가 신자의 집에 몇 명의 승려를 초대하면, 그
          초대에 참석할 수 있는 승려를 산가지[行籌]로 뽑아서 결정한다고 해서 붙
          여진 이름이다. 십오일식은 한 달에 두 번 월초일식과 포살일을 제외한 어

          느 날에 베푸는 음식이고, 포살식은 포살일에 재가 신자가 베푸는 음식이

          다. 포살일에 재가 신자는 단식하지만, 승려는 바라제목차를 외우며 참회
          하는 의례를 실시한다. 월초일식은 초하루에 재가 신자가 베푸는 음식을
          말한다.

           둘째, “출가는 분소의를 생활 수단으로 삼는다. 그것에 대해서 목숨이

          다할 때까지 노력해야 한다. 별도로 얻을 수 있는 것으로는 아마의亞麻衣
          (khoma), 면의綿衣(kappāsika), 야잠의野蠶衣(koseyya, 비단), 갈의褐衣(kambala,

          털옷), 마의麻衣(sāṇa, 삼베), 저의紵衣(bhaṅga, 모시)가 있다.”(Vin.Ⅰ.58)
           셋째, “출가는 수하좌를 생활 수단으로 삼는다. 그것에 대해서 목숨이

          다할  때까지  노력해야  한다.  별도로  얻을  수  있는  것으로는  정사精舍
          (vihāra), 평부옥平覆屋(aḍḍhayoga), 누각樓閣(pāsāda), 누방樓房(hammiya), 굴
          원窟院(guhā)이 있다.”(Vin.Ⅰ.58) 누방은 누옥樓屋이라고도 하는데, 가장 높

          은 층에서 전망을 볼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건물을 말한다.

           넷째, “출가는 진기약을 생활 수단으로 삼는다. 그것에 대해서 목숨이
          다할 때까지 노력해야 한다. 별도로 얻을 수 있는 것으로는 숙소熟酥(sappi,

          버터기름), 생소生酥( navanīta, 버터), 유油(tela, 기름), 밀蜜(madhu, 꿀), 당糖
          (phāṇita)이 있다.”(Vin.Ⅰ.58) 당시 다섯 가지 음식, 즉 숙소, 생소, 유, 밀,



          134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