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2 - 고경 - 2022년 12월호 Vol. 116
P. 162
증적 면이 약하다는 사실을 통감하
고 서양의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물로 『심식론心識論』(1859)을
출판해 불교의 식識과 각覺, 불각不
覺의 마음을 뇌와 척수 작용과 연
결해 설명했다.
사진 5 『심식론心識論』(1859).
승적박탈과 독자적 불교학
『심식론』 이후, 탄잔은 「뇌척이체론腦脊異
體論」, 「혹병동원론惑病同源論」, 「무명론」, 「원
판심식론原板心識論」, 「재교심식론再校心識論」,
「노파신설老婆新說」 등을 차례로 발표했고, 이
들 저술을 모아 『시득초時得抄』(1869)를 간행
했다. 탄잔의 의학적 불교이해에 대해 와타
나베 키요시渡部清(1934~)는 다음과 같이 설
사진 6. 『시득초時得抄』(1869).
명했다.
통상, 마음의 상태를 표현하는 대립개념으로서 깨달음과 번뇌, 무
명이 문제가 된다. 탄잔은 이 문제들을 뇌의 상태로 분석해서 설명
했다. 깨달음은 뇌와 뇌에 집중하는 신경계통의 움직임 전체가 그
어떤 것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순수하게 작동하는 상태이다. 이
것은 여실히 스스로의 마음을 알고, 모든 인간이 본구本具의 불성
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불교 고유의 표현으로는 ‘직지인심直指人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