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7 - 고경 - 2023년 3월호 Vol. 119
P. 167

태허와 인순의 이러한 불신관의 차이는 기독교에서 예수를 역사상의 존
             재이며 신의 아들이라는 신적인 요소를 모두 인정하는 입장과 역사상의 존
             재를 더 중심에 놓는 신학적 차이에 비견할 만하다. 현대신학은 신으로서

             의 예수보다는 인간으로서의 예수를 더 강조하고, “신학은 인간학이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신학의 불교적 등가물이 바로 태허의 인생불
             교와 인순의 인간불교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삶에 중심을 둔 불
             교를 말하는 태허 사상에 대해서 인순

             은 인간 자신을 중심에 두는 불교를 주

             장했던 것이다. 이것이 스승 태허의 인
             생불교를 제자 인순의 인간불교가 발
             전시킨  것이면서도  대조적이라고  보

             는 이유이기도 하다.

               인순은 “모든 부처들이 인간에게서
             나왔고, 결국 천天의 영역에서는 성불
             하지 않는다.”(『아함경』)는 글을 읽고 기

             쁨의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시방세계

             중에서 우리 인간이 살아가는 이 땅을
             중시하고 삼세三世에서도 현재를 중시
             하며, 일체 유정 중 특히 인류의 구제

             를 근본으로 삼고 있다는 것에 큰 감동

             을 받았던 것이다.
               그는 깨달음을 얻어 중생세계를 벗
                                                  사진 5.  지장보살도(고려후기, 뉴욕 메트로포리탄박
             어날 수 있더라도 중생을 다 구제하기                     물관). 부처가 되기를 포기한 지장보
                                                      살은 보살정신의 대표적인 예로 볼
             전에는 이 세계를 떠나지 않겠다는 대                     수 있다.



                                                                         165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