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4 - 고경 - 2023년 5월호 Vol. 121
P. 144

찬송가 형식으로 찬불가를 하였고, 결혼식도 기독교식을 따랐다. 당시 하
          와이 사회가 불교에 비우호적이고, 심지어 적대적인 분위기 속에서 기독
          교화를 진행하였다.

           이 영향으로 지금도 미국 정토진종의 법회는 개신교 형식으로 하고 있

          다. 교회에서 하는 순서대로 하는 예배 형식인데 다만 그 내용이 불교이다.
          설교는 스님이 설법으로, 찬송가는 찬불가로 대체하여 한다. 이마무라 스
          님은 법당의 내부 장식을 서구화 또는 기독교화 하였다. 예를 들어 그는 법

          당 안에 다다미 대신에 248개의 의자를, 그리고 교회식 목조 좌석들을 배

          열하여 약 1,000명의 불자들이 동시에 법회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법당에 일본 전통 불단을 설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일요법회를 위한 설
          교단을 설치하였다. 이마무라 스님은 하와이 불교의 미래에 대한 통찰력

          을 가졌고, 정토진종을 미국화 시키려고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일

          본의 문화와 불교를 잘 보존하면서 미국 사회에 필요한 일본문화와 불교
          를 만들려고 노력하였다. 그는 미국 문화, 종교, 사회 양식을 적극 받아들
          여 미국 스타일의 불교로 정토진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하와이 백인사회의 일본불교에 대한 적대적인 분위기 속에서 전

          혀 새로운 일본불교 모습을 두 가지 측면에서 창조할 필요성을 느꼈다.
          첫째, 정토진종은 하와이의 기독교와 백인사회가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종교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마무라 스님은 기독교의 슬로건인

          “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사랑과 용서”와 비슷한 슬로건인 “부처님의

          영원한 빛과 사랑”을 정토진종의 슬로건으로 채택하였다. 둘째, 불교와
          정토진종이 하와이 종교계의 주요 종교로 자리잡는 것이다. 이마무라 스
          님의 이러한 작업은 미국에서 불교 변형의 한 예를 가장 적나라하게 보여

          주고 있다.



          142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