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7 - 고경 - 2023년 6월호 Vol. 122
P. 157

는 웅십력의 ‘체용불이體用不二’ 사
             상의 발전이며, 이것이 그대로 모
             종삼의 ‘도덕적 형이상학’으로 완성

             되었다는 것이다.

               도덕적 자아를 중시하는 이러한
             시각에서 보면, 당군의를 불교사상
                                               사진 2.  1963년 당군의와 그의 아내 사정광谢廷
             가로 보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불                    光의 모습.
             교철학은 그의 전체 사상에서 결정

             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화엄불교 사상가로서 서양 헤겔철학
             과 유학을 수용하여 새로운 불교의 길을 모색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당군의의 불교사상은 생략되거나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되어 왔던 것이다.

               동양의 모든 근·현대 사상은 동서 문화의 충돌이라는 시대적 산물이

             다. 중국 근·현대 사상가들은 불교와 유학 등 동양 전통철학과 서양철학
             을 융합하거나 현대화하여 새로운 철학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때 당군
             의는 웅십력이 유식불교의 사상과 용어를 빌어 신유식 사상의 틀을 세우

             고, 모종삼이 중국불교 중 천태사상을 중시한 것과 달리, 화엄사상을 자기

             철학의 모태로 삼았다. 또한 모종삼이 칸트 철학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
             과 달리, 당군의는 헤겔 철학을 높이 평가하고 새로운 불교의 내재적 정신
             을 밝히는 데 활용하였다.




                초월론적 동서문화 연구와 ‘중국문화 선언’


               당군의는 중국 사천성 의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청나라에서

             수재로 이름난 사람이었고, 그는 어려서부터 아버지에게 이끌려 유학 경



                                                                         155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