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4 - 고경 - 2023년 6월호 Vol. 122
P. 154

중심으로」, 「한국불교사에 있어서의 태고보우 국사의 지위- 한국불교의
          종조론을 중심으로」, 「태고보우의 법통과 문손」, 「김시습의 인물과 사상」,
          「연담 사기를 통해 본 조선시대의 화엄학」, 「한국불교사상 한용운의 위

          치- 『조선불교유신론』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원효, 태고보우뿐 아니라

          보조지눌, 김시습, 연담유일, 만해 한용운까지 다양한 인물과 사상을 다루
          고 있다.
           이영무는 원효 연구에 큰 비중을 두었는데 원효를 한국 불교사상뿐 아

          니라 한국사에서 가장 위대한 인물로 평가했다. 그는 원효 사상의 핵심으

          로 화쟁 회통과 일심을 꼽으면서 이는 시대와 민족, 종교의 벽을 뛰어넘는
          보편성을 가진다고 보았다. 또 원효 사상에서 평등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
          며, 나와 남이 다르지 않은 자타 평등, 남자와 여자의 평등, 중생과 부처의

          평등을 들었다. 그는 화합과 평등을 추구하는 원효의 사상이야말로 대립

          과 불평등에서 기인하는 세상의 모순과 갈등에 대한 해결방안이 될 수 있
          다고 높이 샀다. 이러한 맥락에서 「원효 사상에 나타난 인권론」(1985)에서
          는 원효가 인간을 가장 훌륭한 존재로 보는 인본주의 이론을 제시하고 인

                                          권운동의  실천에  앞장섰다고까지

                                          주장했다.
                                            그는 원효뿐 아니라 고려 말 원나
                                          라에 가서 임제종 선풍과 법맥을 이

                                          어온 태고보우에도 주목했다. 보우

                                          는 조선시대 불교 법통에서 종조의
                                          위상으로 받들어진 인물이었다. 태
                                          고법통은 1620년대 중반부터 청허

         사진 5. 『이영무불교선집』(불교춘추사, 1991) 전 3권.  휴정의 제자 편양언기에 의해 제기



          152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