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9 - 고경 - 2023년 6월호 Vol. 122
P. 159

당군의는 “나는 대학
             에서 철학을 공부하면
             서 실재론을 좋아하고

             관념론은 좋아하지 않

             았다.”고 말한 적이 있
             는데, 그가 말하는 실
             재론은 영미의 신실재

             론 철학을 의미하였다.
                                    사진 4.  영국철학자 브래들리(F. H.   사진 5.  브래들리의 저서
             “신실재론은 나에게 경                Bradley, 1846~1924).    Appearance and
                                                                 Reality(1893).
             험에 의한 것이나 경험
             에 의하지 않은 잠재된 공상共相이 반드시 있고, 우주에는 무수한 가능적

             존재가 잠재하고 있는 공상이 있어 그중에 진·선·미의 가치를 포함하고

             있을 것이라고 믿었을 때, 무한한 환희를 느꼈다.”는 것이다.
               그러나 초기에 가진 이런 생각은 후기 철학으로 가면 관념론으로 변화

             한다.  이러한  변화는  영국  철학자  브래들리(Francis  Herbert  Bradley,
             1846~1924)의 『현상과 진실재』(Appearance and Reality, 1893)를 읽으면서부터

             라고  한다.  브래들리의  저작은  당시  신실재론자인  러셀(Bertrand
             A.W.Russell, 1872~1970) 등이 가장 즐겨 공격한 대상이었는데, 당군의는 읽
             어 가는 도중에 무한한 흥미가 생겼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칸트와 헤겔의

             저작을 읽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는 “서른 살 전후에 나는 서양 관념론을 좋아하는 길로 가게 되었는
             데, 이는 애초에 생각도 못한 일이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의 선
             진 유학, 송명 성리학, 불교 사상이 서양 관념론을 뛰어넘는 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하여, 불교 등 중국 전통철학의 가치에 눈을 뜨게 되었다.



                                                                         157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